2008.03.15 15:45

간석지(갯벌)

조회 수 72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하늘이 내린 정원으로 불리는 대한민국 생태관광 1번지

갯벌은 세계적으로 매우 드문 자연 경관을 제공한다. 매우 큰 조수간만의 차, 완만한 경사, 여기에 풍부한 부유물의 공급처가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만족되어야만 갯벌이 만들어지므로 이러한 조건을 고루 갖춘 지형을 만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갯벌은 영국, 네덜란드, 독일, 덴마크의 북해 연안이나 북미 대서양 연안 등에 일부 발달해 있다.

우리나라는 남북한 갯벌 면적의 합이 약 6,000㎢에 달하는 커다란 규모의 갯벌을 가지고 있다. 만조때는 바닷물이 들어오고 간조때는 바닷물이 나가는 넓은 개펄로 황해안과 같이 조차가 큰 해안과 낙동강하류에 널리 나타나는 갯벌을 말한다. 하천에서 유입된 퇴적물이 퇴적되지 못하고 조류에 의하여 바다로 제거되었다가, 제거된 토사가 조류를 따라 멀리까지 운반되어 잔잔한 곳에 쌓여서 간석지를 형성한다.
간석지의 퇴적물은 점토, 모래, 실트로 이루어지며, 주로 점토로 구성된 벌은 잔잔한 만이나 도서가 파랑의 접근을 막아주는 해안에 잘 발달한다. 우리나라에서 간석지가 가장 넓게 분포하는 곳은 한강, 임진강, 예성강, 안성천 등 여러하천이 유입되는 경기만이다.
우리나라의 간석지는 간척되어 농업용지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의 환경보전의 중요성 대두로 간석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연안 해양생물의 66%가 갯벌 생태계와 직접 관련이 있고, 어업활동의 90%가 갯벌에 의존함. 또한 갯벌은 육상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기능도 있음. 갯벌을 개발하려고 할 때에는 갯벌의 경제적 가치 뿐 아니라 종합적인 가치를 비교 결정하여야 함.
우리나라 갯벌은 총 면적이 2,393㎢(국토 면적의 2.4%)로서 세계 5대 갯벌중 하나이며 이중에서 서해안이 83%인 1,980㎢를 차지하고 있다.

 

갯벌은 물과 육지가 만나는 경계지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식하는 생물의 종류가 다양하고 해양생태계의 먹이사슬이 이곳에서 시작된다. 그래서 연안 해양생물의 66%가 갯벌 생태계와 직접 관련이 있고 어업활동의 90%가 갯벌에 의존한다. 따라서 갯벌은 자연에서 가장 생산력이 높은 생태계의 하나로 바다에 비해 10∼20배가 높으며, 농경지에 비해 100배 정도의 높은 생산력을 가진다. 또한 갯벌은 육지와 바다의 완충 지대에 위치하여 육상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오염물질이 갯벌에 유입되어 퇴적되면 갯벌속에 살고 있는 다양한 미생물에 의하여 화학물질의 분해가 활발히 진행되어 수질이 개선된다. 실험에 의하면 10㎢의 갯벌이 갖는 오염정화 능력은 25㎢의 면적을 가진 인구 10만명 정도의 도시가 배출하는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하수종말 처리시설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한다.
갯벌은 사람들에게 낚시, 해수욕, 아름다운 경치 등 레크레이션의 장소가 되기도 하고 철새 서식지 등 자연탐구, 조류관찰, 학술연구 대상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갯벌은 홍수가 날 경우 급속한 물의 흐름을 늦추어 저장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고 태풍이나 해일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완충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이 갯벌이 가져다 주는 사회적 이익은 대단히 크며 갯벌을 개발하려고 할 때는 갯벌의 경제적 가치 뿐 아니라 종합적인 가치를 비교하여 결정해야 한다. 해양수산부에서는 갯벌의 무분별한 개발을 막고 연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연안관리법』을 제정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순천만의 사랑이자 상징인 갈대밭이 짙은 녹음으로 빛나며 바람에 하늘거리고 있고, 회색빛 갯벌, 작열하는 태양과 그 하늘을 담고 있는 갯골의 물줄기, 갈대밭 저편 바닷물과 맞닿은 염생 식물대, 주변의 간척지 논 등으로 채워져 있다. 갈대밭과 갯골이 닿은 곳에는 횟집이 드문드문 자리를 잡았고, 갈대밭 위로는 나무로 만든 산책로가 펼쳐져있다. 굽은 둣 곧고, 곧은 둣 굽은 길이 사람드르이 발길을 인도한다. 갈대밭 아래 갯벌에는 그곳의 오랜 주인인 게들이 구멍을 파 놓았다. 더운 여름 땡볕을 맛보려 나온 게 몇 마리가 인기척에 화들짝 놀라 자신의 게 구멍으로 사라진다. 이렇듯 갯벌은 생명으로 가득하다.

 갈대 숲이 장광이다. 갯골을 사이에 두고 펼쳐진 푸른 갈대숲이 길게 그리고 원형으로 다양한 모양을 하고 있다. 그 사이에 칠면초로 구성된 염생 식물대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염기 성분이 많은 곳에서 잘 자라는 식물로서 바닷가 식생의 최전선을 형성한다.

갯벌의 생태계는 다양한 가치가 있다. 갯벌은 단위 면적당 생산성에서 논보다 30배나 높은 경제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갯벌의 습지는 홍수 조절 기능과 환경 정화 기능을 한다. 넓은 갯벌은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홍수를 조절해 주고, 그곳에 자라는 갈대등이 육지에서 내려온 질소와 인을 빨아들여 바다의 부영양화를 방지한다. 갯벌은 철새들의 서식처를 제공해 주기도 하는데, 이곳 순천만은 시베리아에서 남쪽으로 날아가는 겨울 철새의 쉼터를 제공한다. 갯벌과 갈대숲은 철새들에게 풍부한 먹이와 은신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생물 종의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수많은 미생물에서 조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명체가 어울려서 먹이 사슬을 형성하며 사는 공간이 갯벌이다. 


※ 세계 5대 갯벌 : 캐나다 동부해안, 미국 동부해안, 북해 연안, 아마존강 유역, 우리나라 서해안

Who's 지리임닷컴

profile

임종옥 (Jongox Lim)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학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전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4 가두리양식장 file 임종옥 2008.03.15 9276
133 가래포 file 임종옥 2008.03.15 5849
132 가스전 file 임종옥 2008.03.23 6405
131 가재(crayfish) file 지리임닷컴 2012.01.30 5405
130 가파도키아기둥 file 지리임닷컴 2008.03.15 7427
129 간석지 file 지리임닷컴 2008.03.22 6663
» 간석지(갯벌) file 지리임닷컴 2008.03.15 7253
127 간절곶 file 임종옥 2008.03.15 6170
126 간조육계도 file 지리임닷컴 2008.03.15 7366
125 간척지 file 임종옥 2008.03.15 537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