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09 10:52

개기월식(皆旣月蝕)

조회 수 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붉은 달’ 개기월식…‘천왕성 엄폐’ 현상도
8일 오후 인천시 중구 용유동에서 바라본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 중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8일 오후 인천시 중구 용유동에서 바라본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 중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8일 오후 인천시 중구 용유동에서 바라본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 중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8일 오후 인천시 중구 용유동에서 바라본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 중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8일 오후 인천시 중구 용유동에서 바라본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 중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8일 오후 인천시 중구 용유동에서 바라본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 중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8일 오후 인천시 중구 용유동에서 바라본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 중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8일 오후 인천시 중구 용유동에서 바라본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 중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8일 오후 인천시 중구 용유동에서 바라본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 중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개기월식이 진행된 8일 인천 중구에서 바라본 달의 왼쪽 하단에 천왕성(흰색 동그라미)이 보이고 있다. 천왕성은 이후 달에 가려 보이지 않았다. 달이 천왕성을 가리는 '천왕성 엄폐'의 경우 2015년 1월 25일 이후 약 7년 반 만에 일어났다. 두 천문현상이 겹치는 '우주쇼'는 향후 200년간 한반도에서 다시 관측할 수 없다.

8일 밤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 붉게 물드는 개기월식(皆旣月蝕)이 4년 만에 관측됐다.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현상인 개기월식은 부분월식과는 달리, 달이 붉은색을 띠게 된다. 이날 오후 6시쯤부터 달의 왼쪽 부분이 가려지기 시작했고,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식은 오후 7시16분부터 시작됐다. 오후 7시59분에 ‘최대식’을 보인 달의 개기식은 오후 8시40분을 넘어 종료됐다.

가장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개기월식이 관측된 것은 지난해 5월 26일로 약 1년 6개월 만이다. 다음 개기월식은 3년 뒤인 2025년 9월 8일, 천왕성 엄폐는 2068년 2월 27일에 관측 가능하다.(뉴스1코리아, 2022년 11월 09일)

8일 오후 인천시 중구 용유동에서 바라본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 중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개기월식이 진행된 8일 인천 중구에서 바라본 달의 왼쪽 하단에 천왕성(흰색 동그라미)이 보이고 있다. 천왕성은 이후 달에 가려 보이지 않았다. 달이 천왕성을 가리는 '천왕성 엄폐'의 경우 2015년 1월 25일 이후 약 7년 반 만에 일어났다. 두 천문현상이 겹치는 '우주쇼'는 향후 200년간 한반도에서 다시 관측할 수 없다. 
8일 오후 인천시 중구 용유동에서 바라본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 중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8일 오후 인천시 중구 용유동에서 바라본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 중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8일 오후 인천시 중구 용유동에서 바라본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늘어서서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 중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를 말한다.

Who's 지리임닷컴

profile

임종옥 (Jongox Lim)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 학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석사. [지리교육학전공]

-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교육학박사. [지리교육학전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9 가두리양식장 file 임종옥 2008.03.15 9318
138 가래포 file 임종옥 2008.03.15 5889
137 가스전 file 임종옥 2008.03.23 6443
136 가재(crayfish) file 지리임닷컴 2012.01.30 5437
135 가파도키아기둥 file 지리임닷컴 2008.03.15 7459
134 간석지 file 지리임닷컴 2008.03.22 6697
133 간석지(갯벌) file 지리임닷컴 2008.03.15 7286
132 간절곶 file 임종옥 2008.03.15 6201
131 간조육계도 file 지리임닷컴 2008.03.15 7401
130 간척지 file 임종옥 2008.03.15 540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