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부터 부산에서 첫째를 낳으면 200만원을, 둘째 이후부터는 300만원의 출산지원금을 지급한다.
부산시는 내년부터 '영아기 집중투자'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출산 후 육아휴직 등으로 수입이 줄고 지출이 늘어나는 양육부모와 전일적·전적 돌봄이 필요한 영아의 특성을 반영해 실질적인 지원을 신설,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우선, 내년에 태어나는 아이부터 출산지원금을 확대 지급한다.
첫째는 정부의 ‘첫만남이용권’ 사업과 연계해 200만원(일시금, 바우처)을 지원한다. 둘째 이후 출생아부터는 시비로 마련한 100만원을(일시금, 현금) 추가로 지급해 총 300만원을 지원한다.
그동안 둘째 이후 출생 자녀에게 집중하던 기존 출산지원산업을 개편해 첫째부터 실질적 양육비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기존 출산축하용품 지원(10만원 상당), 둘째 이후 초등학교 입학축하금(20만원) 사업 등은 올해를 마지막으로 종료한다.
영아기 부모의 지출 부담을 덜기 위해 내년부터 출생하는 만 0~1세 아동에게 24개월간 30만원씩 ‘영아수당’을 지급한다.
그동안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0~23개월 아동에 대해서는 월 15~20만원의 가정양육수당을 지원해 왔지만, 어린이집 이용 때 받는 보육료 지원금 월 50만원과 차이가 커 개선 요구가 있었다.
영아수당은 현금으로 지급돼 가정에서 직접 양육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내년부터 부득이한 사정으로 가정양육이 어려워 어린이집 보육이 필요한 생후 12개월 이하의 어린 영아를 위해 ‘부산형 영영아반’ 운영지원 사업을 시행한다.
생후 12개월 이하 영영아의 경우 스스로 움직임이 어려워 집중 돌봄이 필요하나, 법령상 어린이집 보육교사 1명이 아동 3명을 돌보도록 규정돼 보육교사의 업무 가중과 돌봄 기피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이러한 보육 현장의 어려움을 반영해 어린이집 영영아반의 교사 대 아동 비율을 기존 1대 3에서 1대 2로 개편하고 반별 운영비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처우를 개선하고 보호자가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6588392&code=61122019&cp=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