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체계 만들고 데이터 축적해 대학이 선제 대응해야"
(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학령인구 감소 여파로 지방대들이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학업을 그만두는 지방대 학생도 늘어나 지방대 위기가 가중되는 모습이다.
24일 종로학원하늘교육이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전국 225개 4년제 대학의 자퇴 현황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대학 자퇴생은 지난 2019년 기준 총 5만4874명(2.7%)으로 전년도 5만2333명(2.5%) 대비 4.9%(2541명) 증가했다.
분석은 방송통신대와 사이버대, 각종대학을 제외한 서울 소재 43개 대학과 수도권 42개 대학, 비수도권 140개 대학의 정원 내·외 모집인원을 기준으로 했다. 카이스트 등 특성화대도 포함했으며 대학별 캠퍼스는 분리해 집계했다.
◇지방권 대학 '자퇴생' 증가…신입생 모집 난항에 '이중고'
지방권 대학에서는 자퇴생이 2019년 3만7685명(3.0%)으로 전년도 3만6687명(2.9%) 대비 2.7%(998명) 늘었다. 자퇴생 증가는 재학생 수 감소와 등록금 수입 하락으로 이어져 대학재정 악화를 불러오는 요인 중 하나다.
2021학년도 정시모집에서 경쟁률이 3대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지방대가 적지 않아 지방대 입장에서는 신입생 미달에다 재학생 이탈이라는 이중고를 안고 있는 셈이다.
지방권 대학 중에 자퇴생이 전년 대비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부산에 있는 동명대로 2018년 274명에서 2019년 632명으로 358명 증가했다.
이어 계명대(668명→803명, 135명) 부경대(463명→586명, 123명) 경북대(690명→796명, 106명) 강원대(462명→563명, 101명) 순으로 자퇴생이 많이 늘어났다.
서울과 수도권 소재 대학들도 자퇴생 증가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서울권 대학 자퇴생은 2019년 기준 총 9661명으로 전년도 8774명 대비 10.1%(887명) 증가했다.
수도권 대학 자퇴생은 2019년 총 7528명으로 전년도 6872명 대비 9.5%(656명) 늘어난 모습을 보였다. 자퇴생 증가율에서는 지방권보다 서울권과 수도권이 높았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수도권 소재 대학 학생은 서울권 대학 진입을, 서울권 대학 학생은 최상위권 대학이나 의예과 등 최상위 학과 진학을 목표로 하는 반수생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22학년도 대입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정시 비율이 늘어나고 약학대학이 다시 학부체제로 전환되면서 서울과 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자퇴생 증가세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방대마다 중도탈락률로 고심…"학생 지원 프로그램 시행"
자퇴에서 범위를 넓혀 미등록, 미복학, 학사경고 등까지 포함하는 중도탈락률을 놓고 보면 지방대가 상대적으로 더 타격이 큰 상황이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매년 발간하는 교육통계분석자료집을 보면 2019년 기준 국내 4년제 일반대학의 중도탈락 학생 수는 9만2792명으로 평균 중도탈락률이 4.6%였다.
중도탈락률은 전년도 재적 학생 수 대비 해당 연도 중도탈락 학생 수 비율을 뜻하는데, 2019년 수치를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나누면 각각 3.5%와 5.4%로 지방대가 더 높게 나온다.
지방대들도 중도탈락 학생 수를 줄이기 위해 이전부터 대학 차원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시행해왔다. 신입생 모집은 학령인구 감소 영향이 커서 통제에 한계가 있는 반면 중도탈락 방지는 대학 차원에서 조치가 가능하다.
경북에 있는 한 사립대학 관계자는 "기초교육이 부족해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위해 멘토링 등 학업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행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또 대학마다 타지역에서 입학한 학생들이 지역사회에 원활하게 적응하고 학교에 애착심을 가질 수 있도록 기숙형대학(RC) 프로그램 제도를 활용하기도 한다.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가운데 대학인지도, 입학경쟁률, 신입생 충원율, 기숙사 수용률,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 등 못지않게 타지 생활의 외로움 등 정서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는 탓이다.
이 관계자는 "재학생 중 수도권 학생 비율이 40% 이상으로 많은 편이다"면서 "지역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을 위해 또래와 어울릴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RC 제도를 지원 중이다"라고 말했다.
◇'중도탈락 추적체계' 구성해 선제 대응해야
문제는 대학별 자체 노력에도 지방대의 중도탈락률이 상승 추세라는 점이다. 비수도권 대학의 평균 중도탈락률은 2016년 4.7%, 2017년 4.9%, 2018년 5.3%, 2019년 5.4% 등 최근 4년간 증가해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면서 지방대 사이에서는 중도탈락률 상승에 대한 우려가 더 커졌다. 원격수업이 진행되면서 학교에 머무는 시간이 그만큼 짧아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대학생의 학업중단 영향요인 분석' 연구를 진행한 차지철 동명대 학부교양대학 교수는 "학생의 대학 정주 시간이 높으면 이탈 가능성이 적다는 연구결과도 곳곳에 있다"라고 말했다.
차 교수는 중도탈락 학생을 줄이려면 지금보다 더 촘촘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어떤 학생이 중도탈락 위험성이 큰지 파악이 쉽지는 않다"면서 '중도탈락 예측모델' 활용을 제안했다.
어떤 성향의 학생들이 중도탈락하는 비중이 높은지 파악하고 그 집단을 기준으로 선제적으로 대학이 상담이나 학업 프로그램 등 필요한 지원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차 교수는 "보통 자퇴 전 예비 선택지로 학생들이 휴학을 선택하는데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왜 휴학을 하는지 묻고 이유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미 자퇴를 결심한 학생에게도 대학이 자퇴를 만류만 할 것이 아니라 어떤 불만족에서 자퇴를 결정했는지 분석하고 조사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도 있다.
차 교수는 "중도탈락 추적체계를 일반행정부서에서 만들기는 어렵다"면서 "대학 IR(기관연구) 센터에서 담당하되 관련 정보를 대학별로 통합하면 (데이터를) 활용할 부분도 많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뉴스1코리아,2021년 01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