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도 중 군현지도는 조선시대 지방 행정의 기본 단위였던 부, 목, 군, 현을 대상으로 그린 지도로서 군현도 또는 읍지도로 불리었다. 군현지도는 대부분 18세기 이후에 전하는 것이다. 조선후기에 제작된 군현지도는 소규모 지역을 대상으로 그렸기 때문에 산천을 비롯하여 자연 경관은 물론 주변의 촌락, 경지, 하천, 도로, 시장, 농경 모습 등 지역의 경관이 구체적이고 총체적으로 描寫되어 다방면의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군현지도는 땅의 근본 이치를 밝히려는 지리학의 이념적 측면보다는 중앙 집권적 국가의 통치, 군사, 경제적 목적에 의해 현실적인 측면이 강조되면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군현지도는 국가나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에 의해 제작되었다. 따라서 군현지도의 구성과 내용은 군사, 경제, 행정, 교통, 통신, 교육과 의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