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소개
사진자료
용어사전
공부방
공통사회
한국지리
지식&정보
포토 갤러리
커뮤니티
 
/ / / / / / / / / / / / /

전체글 수: 17
푄 현상
2003-07-04 10:59:42
공기가 이동하다가 산지를 만나 강제 상승(바람 받이 사면)하게 될 때 발생하며, 습윤한 공기가 산지를 타고 오르면서 습윤 단열 변화를 할 때에는 기온이 낮아지고 비를 내리게 되며 반대쪽 산지 사면(바람 의지, 맞이, 그늘)을 따라 하강할 때 에는 기온이 상승하게 된다.
지중해의 습한 바람이 알프스 산맥을 넘으면서 비를 내리고 스위스 오스트리아의 알프스 골짜기를 향하여 내려 부는 따뜻한 바람을 말한 것이나 그 후 일반적으로 산기슭으로 향하여 불어내리는 건조한 바람을 푄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대기가 바람 받이 사면을 강제적으로 상승할 때 단열 팽창하여 기온이 하강하는데 응결 고도 이하에서는 건조 단열 체감(섭씨 -1도/100m) 을 하며, 포화 상태에 도달하여 응결되면 구름이 생기고, 응결 고도 이상에서는 비가 내리게 된다(지형성 강우).이 때에는 비를 뿌렸기 때문에 잠열이 방출되어 습윤 단열 체감(섭씨 - 0.5 or 0.6 도/100m)을 하면서 정상 까지 도착한다. 바람 의지 사면에서는 건조 단열 압축(체증률 섭씨 1도/100m) 에 이해 기온이 상승하고 상대 습도가 낮아져서 고온 건조한 바람이 불게 된다.
늦은 봄-초여름에 영서지방으로 부는 높새 바람도 푄 현상의 원리에 의한 것이다.
추천 : 0, 조회 : 1,865
코멘트 0 | 트랙백 3,613 | 첨부파일 2
번호
제목
글쓴이
일자
추천
조회
17
2008-02-15
0
2,552
16
2008-02-15
0
2,229
15
2007-02-13
0
1,543
14
2007-01-28
0
1,532
13
2006-07-06
0
1,623
12
2006-05-16
0
1,820
11
2003-07-04
0
1,719
10
2003-07-04
0
1,772
9
2003-07-04
0
1,865
8
2003-07-04
0
1,877
Copyright 2007. JiriLim.com. All rights reserved. E-mail : jong_ox@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