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소개
사진자료
용어사전
공부방
공통사회
한국지리
지식&정보
포토 갤러리
커뮤니티
 
/ / / / / / / / / / / / /

전체글 수: 33
황해안에 갯벌(tidal flat)
2008-02-15 09:25:00
간석지라고도 한다. 대륙붕의 일부로 썰물(바닷물이 나갔을) 때 드러나는 해저 퇴적지형이다. 갯벌은 주로 하천에서 공급된 미립질의 뻘(개흙)로 구성되어 있다.
1. 황해안은 중국의 황하, 양쯔강, 랴오허강 등으로부터 황토 등의 유입량이 많다.
2. 우리나라의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 금강, 한강 등으로부터의 하천 퇴적물의 유입량이 많다.
3. 조차가 커서 삼각주가 형성되지 못하고, 갯벌로 존재하는 것이다. 즉 조차가 너무 크면 해수면 위로 드러나는 삼각주가 형성되지 못하고, 하천 등으로부터 공급된 퇴적물질이 해수면 아래로 흩어져 갯벌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황해안은 8m 이상의 조차를 갖는 만도 있다. 한편, 동해안은 조차가 수십cm에 불과하며, 수심도 깊고, 대륙붕도 발달하지 못했고, 황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천퇴적물질의 유입량도 적어 삼각주 발달에 불리하다. 단, 두만강 하구에는 녹둔도(조선시대 이순신장군이 한때 수군만호로 근무하면서 여진족과 전투를 벌인 기록도 남아있다) 등의 삼각주가 발달되어 있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을 흐르는 흑룡강(아무르강) 하구에도 삼각주가 발달되어 있다.
  * 갯벌의 역할   ㉠ 육지로부터 공급되는 오염물질의 정화           
                  ㉡ 홍수․태풍 조절 기능
                  ㉢ 작은 물고기의 서식지(shelters; house & home)  
                  ㉣ 자연 생태관광자원

  * 갯벌의 이용   ㉠ 천일제염(염전) ㉡ 양식장

  * 간척지의 이용 : 간척지란 갯벌에 방조제를 쌓아 육지화된 땅으로 다음과 같이 이용된다.
                    ㉠ 공장부지 ㉡ 주택지 ㉢ 농경지(논) -> 대부분은 농경지로 이용

추천 : 0, 조회 : 2,248
코멘트 0
번호
제목
글쓴이
일자
추천
조회
33
2008-02-15
0
2,309
32
2008-02-15
0
2,249
31
2008-02-15
0
2,242
30
화석
2007-06-24
0
1,660
29
2007-06-22
0
1,704
28
2007-06-07
0
1,609
27
2007-05-21
0
1,627
26
2007-03-17
0
1,824
25
2007-03-10
0
1,649
24
2007-03-10
0
1,582
Copyright 2007. JiriLim.com. All rights reserved. E-mail : jong_ox@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