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소개
사진자료
용어사전
공부방
공통사회
한국지리
지식&정보
포토 갤러리
커뮤니티
 

전체글 수: 202
비밀글 설정시 비밀글에 체크해주세요!
궁금한점이있어요. ㅎ
2005-09-03 22:20:01
선생님 안녕하세요.
사회 3반 김보경입니다^ ^

매일 틈틈히 선생님의 귀중한 자료들을 살펴볼예정인데요.
오늘은 대마도 여행기를 봤어요.
글 적는 재주가 없으시다고 그러시더니......
제 관점에서는 정말 멋지던데요~ ㅎ
앞으로 보게될 선생님의 기행문이 기대되네요 ㅎ

아참, 제가 여기에 글을 올리는 이유는
'대마도 답사'를 읽던 중 궁금한점이 있기 때문이에요; ㅎ

- 첫번째로 ,
'입목축적량'이란 말이 나왔어요;
제가 나름데로 '단위면적당 들어있는 나무의 양'이라고 정의했는데요;
이게 맞는지 여쭤볼려구요....ㅎ

- 두번째로,
'뷔름빙기'라는 말이 나오더군요.
검색해보니 '지질시대 제4기 빙하시대에 있었던 4회의 빙기 중 마지막 빙기'라고 되어있던데요. 그럼 이 이후에는 빙기가 없었나요?
이외에 다른 점도 궁금한데 머리속에서만 윙윙거리고 직접 그 궁금증을 글로 표현하기가 어려워 올리지 못하게 되었어요 ㅜ

에고.... 저의 무지가 탄로나는순간입니다 ㅜㅜ
헤헤; 괜히 제가 선생님 귀찮게 해드리는건 아닌지 모르겟네요.

다시한번 더 귀중한 CD 감사드리며. 안녕히계세요~ ㅎ

추천 : 0, 조회 : 1,660
코멘트 3 | 트랙백 0
예쁘고 착하고 공부 잘하는 보경!

자주 방문을 해 주셔서 고맙고, 언제든지 궁금한게 있다면 질문 하도록 하세요.
입목축척량(立木蓄積量)의 표현은 그대로가 정확합니다. 추가 한다면 독일, 일본, 미국, 캐나다, 스칸디나비아3국 같은 나라가 입목축척량이 가장 높습니다. 또한 나무에는 열대지방에서 생산되는 경목(나무 재질이 단단함)과 냉대지방에서 생산되는 연목(나무 재질이 부더러워, 즉 좋아서 비싼 용도로 사용됨)이 있는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목재를 수입하는 나라들은 연목(침엽수림)을 고급용재로 사용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수입한 경목(열대상록수림)은 비교적 값싼 용도로 사용합니다.

두번째 질문에서, 3번의 간빙기와 4번의 빙하기가 있었고, 마지막 빙기를 뷔름빙기라고 하지요.
기후가, 빙하기는 추웠고 간빙기는 따뜻했는데, 마지막 빙기인 뷔름빙기에서 가장 추웠던 시기는 약 1만 7천년 전이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간빙기라고도 하고 후빙기라고도 하지요.

궁금한것 있으면 언제든 질문하세요.
저가 모르면 동료선생님과 교수님께 물어보더라도 답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노력하는 보경의 모습이 아릅답습니다.
즐거운 나날 보내시기를......



2005-09-04 08:40:51
답변정말감사드려요^ ^ .

근데, 저는 평소에 열대지방에서는 연목이 생산되고,
냉대지방에서는 경목이 자란다고 생각했었는데 그게 아닌가봐요.
그러고보니까 흙목이였던가, 그게 생각이 나네요.
덕분에 제대로 알게되었어요 ^^ 감사드립니다~ 헤헤 ^^

아참, 그리고 이쁘고착하다고해주셔서 정말감사드리구요 ^ ^
( 이런말에 제가 약해요 ㅜㅜ ㅎㅎ)

선생님께서도 좋은 나날보내시구요~
다시한번더 정말 감사드립니다 ^ ^
2005-09-04 22:19:28
OK!
그리고 연목, 경목은 다음 수업때 다시한번 말씀 드리겠습니다.
흙목이란 단어는 없구요.
착하고 이쁘다는 단어는 앞으로 많이 많이 듣게 될 것입니다.
2005-09-06 11:39:57
번호
제목
글쓴이
일자
추천
조회
112
2005-09-03
0
1,661
111
하해셈.ㅋㅋ
2005-09-03
0
1,081
110
2005-09-02
0
1,500
109
조용국이 ㅋㅋ
2005-09-01
0
1,113
108
1129 정우철
2005-09-01
0
1,087
107
하강우(1136)
2005-09-01
0
1,152
106
1106정신병자김윤
2005-08-31
0
1,115
105
2005-08-31
0
1,420
104
1106정신병자
2005-08-31
0
1,142
103
2005-08-29
0
1,448
Copyright 2007. JiriLim.com. All rights reserved. E-mail : jong_ox@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