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르네상스를 근대 사회의 시작이라고 하나요? 그리고 교과서에 이탈리아의 통일 편에 보면 마치니는 그냥 통일운동을 하자고 제의만 한 건가요? 마치니-카보우르-가리발디까지 자세히 사건과정을 적어 주세요. 또한 빅토리아 시대는 또 무엇인가요? 국민의회, 입법의회, 국민 공회, 총재정부 각각 뭐가 다른 건가요? 이탈리아, 독일의 통일에 방해국가를 각각 적어 주세요, 다윈의 진화론이 사회 사상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ㅋㅋ 너무 많죠 ㅋㅋ
첫째, 르네상스는 근대의 시작이다. 르네상스는 원래 재생을 뜻하는 말로서, 14세기에서 16세기에 걸쳐 일어난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고전 문화 부활, 그리고 이에 따른 인간주의적인 새로운 문화의 탄생을 의미하여 왔고, 둘째, 르네상스는 중세의 종말이다. 르네상스가 14,5세기에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라 중세를 통하여 서서히 일어났으며 중세의 연장선 위에 있다는 주장이다.
마치니는 프랑스 3월 혁명에 자극받아 1831녀 청년 이탈리아 당을 결성, 자유,독립,통일을 표방하면서 이탈리아를 공화정치로 통일할 것을 호소하였다. 그러나 이상주의적이고 공화주의적인 그의 통일운동은 실패를 거듭하였고, 이탈리아 통일 과업은 결국 사르데냐의 현실적인 정치가 카보우르의 손으로 넘어갔고 북부 이탈리아를 점령하게되고, 가리발디는 시칠리아, 나폴리를 점령하여 1861년 이탈리아 통일 왕국을 수립하게 된다.
빅토리아시대는 1837∼1901년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이 통치한 시대. 자유당(自由黨)과 보수당(保守黨)의 양대 정당이 양당의회정치를 실시하였으며 제국주의 정책에 의한 식민지 통치의 황금시대를 이룩하여 영국은 세계대제국으로 등장하였다. 제2차(1867)·제3차(1884) 선거법 개정으로 선거자격이 확대되었고, 1871년에는 초등교육법이 발표되어 국민교육이 보급되었으며, 노동조합법이 발표되어 노동조합 운동이 합법적으로 승인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글래드스턴이 의회에 제출한 아일랜드 자치법안이 부결되어 후세에 문제점을 남긴 시대이기도 하다. 이 시기에 꽃핀 문학의 경향을 보면 통속적인 사실주의가 유행하면서도 그것을 초월하는 실제적 인간성을 추구하였고, 위선과 허영에 대한 풍자적 비판이 특성을 이루었다.
프랑스 혁명의 전개과정에서 국민의회시대(인권선언, 봉건적 특권의 폐지, 헌법제정), 입법의회시대(공화파 우세, 왕권 정지), 국민공회시대(공화정 선포, 루이16세 처형, 자코뱅당의 공포정치), 총재정부시대(로베스피에르가 반대파들에게 처형된 후 국민공회는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여 총재정부를 수립), 통령정부(나폴레옹), 제정수립 순으로 이어진다.
이탈리아는 프랑스의 2월 혁명이후 사르데냐를 중심으로 통일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오스트리아의 간섭하에 있었고, 독일의 통일은 관세 동맹을 체결하여 경제적 통일을 이룩한 프로이센의 주도하에 있었다. 직접적인 오스트리의 방해와 간접적인 프랑스의 간섭이 있었다.
찰스 다윈은 생물이 장기간에 걸쳐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진화한다는 진화설을 주장하였고, 크리스트교회로부터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 즉 창조설을 믿는 크리스트 교인들은 진화설을 주장한 다윈의 얼굴에 원숭이의 몸을 합체시켜 그를 조롱하였다.
1859년 종의 기원에서 생존 경쟁, 자연 도태, 적자 생존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그의 가설은 그 후 멘델의 유전법칙, 드 브리스의 돌연 변이설에 의해 보강되었다, 이러한 진화론이 끼친 영향은 대단했다. 자연과학 분야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철학, 종교 등에도 영향을 주어 이른바 사회적 진화론을 유행시켰다. 특히 영국의 철학자 스펜서는 사회를 살아 있는 유기체로 보고 적자 생존의 원리에 입각하여 무제한의 자유 경쟁을 합리화시켰다. 사회적 진화론은 또, 반유대인주의나 인종주의, 혹은 제국주의를 합리화시키는 이론으로 악용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부탁인데, 찾아 볼 수 있는 부분은 스스로 노력하는 자세를 가져 봅시다.
2005-06-08 09:17:20
2217
인터넷에 올렸더니 제대로 답변을 안 해 주고 이해하기 어려워 이렇게 올리게 되었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리고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