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소개
사진자료
용어사전
공부방
공통사회
한국지리
지식&정보
포토 갤러리
커뮤니티
 

전체글 수: 202
비밀글 설정시 비밀글에 체크해주세요!
알렉산드로스대왕의 업적중...
2005-05-16 16:50:09
여창욱
제가 사회 공부를 위해(?) Rome Of Total War라는 게임을 즐기고 있습니다.
거기서 마케도니아가 엄청 강력하길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위력을
게임으로 직접 느꼈습니다...
근데 알렉산드로스 대왕하면 역시 이수스강전투였나? 그것이 생각납니다.
저희 형의 얘기에 의하면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수적으로 매우 불리한 상황에서
압승을 거두었다고 하는데 실제로 어느정도 되는지를 가르쳐주십시오.
추천 : 0, 조회 : 1,395
코멘트 5 | 트랙백 3,596 수정 | 삭제 |
알렉산드로스대왕 [Alexandros the Great, BC 356~BC 323.6]

마케도니아의 왕(재위 BC 336∼BC 323).
별칭 알렉산더대왕, 알렉산드로스 3세
국적 마케도니아
필립포스 2세와 올림피아스의 아들로서 알렉산더대왕, 알렉산드로스 3세라고도 한다. 그리스 ·페르시아 ·인도에 이르는 대제국을 건설한 대왕으로, 탄생에 관해서는 그리스의 작가 플루타르코스(영웅전 작가)가 “올림피아스가 벼락이 배에 떨어지는 꿈을 꾸고 임신하였다” 또는 “필립포스가 아내의 곁에 있는 뱀을 보았다” 등의 전설적인 이야기를 전한다. 당시의 대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가 마케도니아 수도인 펠라의 궁정에 초빙되어 3년 동안 그에게 윤리학 ·철학 ·문학 ·정치학 ·자연과학 ·의학 등을 가르쳤다.
그는 호메로스의 시를 애독하여 원정(遠征) 때도 그 책을 지니고 다녔으며, 학자를 대동하여 각지의 탐험(探險)·측량 등을 시킨 일, 또는 변함없이 그리스 문화를 숭앙한 일 등은 스승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한다. 또한 부왕으로부터는 전술 ·행정 등의 실제적인 일을 배웠고, BC 338년의 카이로네이아전투에 직접 참가하였다. 부왕이 암살되자 군대의 추대를 받아 20세의 젊은 나이로 왕이 되니, 그리스 도시의 대표자 회의를 열고 아버지와 같이 헬라스 연맹의 맹주로 뽑혔다. 때마침 마케도니아의 북방에 만족(蠻族)이 침입하고 서방에서도 반란이 일어나 친정(親征)하였는데, 이 싸움에서 그가 전사하였다는 소문이 퍼지자 온 그리스가 동요하고 테베가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즉시 테베를 토벌하고 테베시(市)의 전시민을 노예로 팔아버렸다.
BC 334년에 그는 마케도니아군(軍)과 헬라스 연맹군을 거느리고, 페르시아 원정을 위해 소(小)아시아로 건너갔다. 먼저 그라니코스 강변에서 페르시아군과 싸워 승리하고, 페르시아의 지배하에 있던 그리스의 여러 도시를 해방하였으며, 사르디스 그 밖의 땅을 점령한 뒤 북(北)시리아를 공략하였다. BC 333년 킬리키아의 이수스전투에서 다리우스 3세의 군대를 대파하였으며, 이어 페르시아 함대의 근거지인 티루스(티로스) ·가자 등을 점령하였다. 그리고 시리아 ·페니키아를 정복한 다음 이집트를 공략하였다. 이집트에서는 나일강 하구에 자신의 이름을 딴 알렉산드리아시(市)를 건설하고 1,000km가 넘는 사막을 거쳐 아몬 신전에 참배하였다.
여기서 ‘신(神)의 아들’이라는 신탁(神託)을 받았는데, 이후로 그는 만인동포관(萬人同胞觀)을 지니게 되었다. BC 330년 다시 군대를 돌려서 메소포타미아로 가서, 가우가멜라에서 세 번이나 페르시아군(軍)과 싸워 대승하였다. 이때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3세는 도주하였으나 신하인 베소스에게 죽음을 당하였다. 알렉산드로스는 계속하여 바빌론·수사·페르세폴리스·엑바타나 등의 여러 도시를 장악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는 여기서 마케도니아군(軍)과 그리스군(軍) 중의 지원자만을 거느리고 다시 동쪽으로 원정하여 이란고원을 정복한 뒤 인도의 인더스강(江)에 이르렀다. 그러나 군사 중에 열병이 퍼지고 장마가 계속되었으므로, 군대를 돌려 BC 324년에 페르세폴리스에 되돌아왔다.
BC 323년 바빌론에 돌아와 아라비아 원정을 준비하던 중, 33세의 젊은 나이로 갑자기 죽었다. 그는 자기가 정복한 땅에 알렉산드리아라고 이름지은 도시를 70개나 건설하였다고 한다. 이 도시들은 그리스 문화 동점(東漸)의 거점이 되었고, 헬레니즘 문화의 형성에 큰 구실을 하였다. 그의 문화사적 업적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 걸친 대제국을 건설하여 그리스 문화와 오리엔트 문화를 융합시킨 새로운 헬레니즘 문화를 이룩한 데 있다. 그가 죽은 뒤 대제국 영토는 마케도니아 ·시리아 ·이집트의 세 나라로 갈라졌다.
2005-05-17 13:40:14
여창욱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가 되었습니다. 근데 이수스강 전투에 대하여는 자세히 되있지 않네요... 흠... 인터넷을 싹 다 뒤져봐야겠군...
2005-05-17 16:30:21 | ipaddress : 210.122.*.119
이수스는 소아시아 반도의 남동쪽 끝에 있었던 옛 지명으로,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BC 333년 11월,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3세의 대군을 쳐부순 싸움을 일컫는다. 싸움의 결과, 다리우스는 패주하고 왕모와 왕비 및 왕자들은 포로가 되었다.
한편, 나폴리 국립고고박물관 소장의 유명한 모자이크 대벽화(1831년 폼페이 출토)는 이 전투의 광경을 그린 것이라고 한다. 또, 독일의 화가 A.알트도르퍼가 그린 같은 이름의 작품도 유명하다.

이수스전쟁전의 유명한 일화를 소개하면,
알렉산더 대왕이 군대를 이끌고 열배나 되는 적과
싸우게 되었다. 싸움터로 가던 도중 대왕은 작은 사원에들러
승리를 기원하는 기도를 올렸다.기도를 마치고 나오자 장수들과
병사들이 기대에 찬 눈빛으로 그를 쳐다보았다.
대왕은 손에 동전 하나를 들고 말했다.
"자, 이제 기도를 마쳤다.
이 기도는 틀림없이 영험이 있을 것이다.
나는 이 동전을 던져 영험을 시험해 보고자 한다.
이 동전을 공중에 던져 앞이 나오면 우리가 승리하는
것이고, 뒤가 나오면 우리는 패배할 것이다."
대왕은 비장한 표정으로 동전을 하늘 높이 던졌다.
모두들 숨을 죽이고 동전을 주시하였다.
군사들이 떨어진 동전을 보니 동전은 앞면이 위로 올라와 있었다.
"앞면이다! 우리가 이긴다!"
기쁜 함성이 천지를 뒤흔들었다.
병사들의 사기는 단번에 올라갔다.
그래서 그들은 적을 격파할 수 있었다.
승리를 축하하는 자리에서 한 장교가 말했다.
"운명이란 무서운 것입니다.
저희가 열 배나 되는 적을 이겼으니 말입니다."
그러자 알렉산더 대왕이 말했다.
"그럴까? 그 동전은 양쪽 다 앞면이었는걸!


2005-05-21 10:47:36
ㅋㅋ
창욱이 넘 열씸히 한당..
ㅋㅋ
2005-07-16 20:41:52 | ipaddress : 221.152.*.81
안티창욱
창욱이 전에 니가 읽던 카이사르,, 거기에서 한니발이랑 카이사르가 붙었던 전쟁이 더 기억 남지 않더나?? ㅋ
2005-08-13 17:10:16 | ipaddress : 222.96.*.181
번호
제목
글쓴이
일자
추천
조회
82
2005-06-19
0
1,527
81
건국
한준
2005-06-14
0
866
80
이성민
2005-06-12
0
867
79
2005-06-08
0
1,296
78
2217
2005-06-06
0
957
77
서경민
2005-05-21
0
939
76
여창욱
2005-05-16
0
1,396
75
최지훈
2005-04-30
0
871
74
2005-04-26
0
1,399
73
2217
2005-04-23
0
956
Copyright 2007. JiriLim.com. All rights reserved. E-mail : jong_ox@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