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바다의 96%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손상됐으며, 이중 41%는 훼손 정도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캐나다, 영국의 과학자 19명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14일(현지시간)보스턴에서 열린 미국과학진흥협회 연례회의에서 해양 오염실태를 보여주는 지도를 공개했다고 AP,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 지도는 어업활동,
지구온난화, 석유채굴시설 등 17가지 유형의 인간 활동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계량화해 작성한 것이다.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 이 연구결과는 사이언스지에도 게재될 예정이다.
이에 따르면 오염이 가장 심한 지역은 북해, 동·남중국해,
카리브해, 북미대륙 동부 해역, 지중해, 홍해, 베링해 및 서태평양 일부 지역으로 나타났다. 반면 빙하로 인해 인간의 손이 닿기 힘든 남극과 북극 지역을 포함한 3.7%의 해양만이 겨우 원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오염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꼽혔다. 무분별한 어로 행위와 선박 운항, 석유산업 등도 원인으로 지적됐다. 킴 셀코 하와이대 연구원은 “전세계 바다의 80%에서 어로 행위가 이뤄지고 있다.”면서 과잉 어로가 생태계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를 이끈
캘리포니아대 벤 할펀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인간의 활동이 해양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큰 그림을 볼 수 있게 됐다.”면서 “예상했던 것보다 상태가 훨씬 심각한 데 놀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극지방도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 인간에 의해 훼손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서울신문, 2월 16일)